공통 헤더
Data : HTTP 메시지가 만들어진 시각입니다.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Connection : 일반적으로 HTTP/1.1을 사용하며 Connection은 기본적으로 keep-alive로 되어있다. 별 의미 없는 헤더.
Content-Length : 요청과 응답 메시지의 본문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해준다. 메시지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Content-Type : 컨텐츠의 타입과 문자열 인코딩을 명시할 수 있다.
요청 헤더
Host : 서버의 도메인 네임
User-Agent : 현재 사용자가 어떤 클라이언트(운영체제, 앱, 브라우저 등)를 통해 요청을 보냈는지 알 수 있다.
Accept : 클라이언트가 허용할 수 있는 파일 형식(MIME TYPE)
Cookie : 웹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저장해 놓았다면 해당 쿠키의 정보를 이름-값 쌍으로 웹서버에 전송한다.
Origin : POST같은 요청을 보낼 때, 요청이 어느 주소에서 시작되었는지를 나타내는데 이때 보낸 주소와 받는 주소가 다르면 CORS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If-Modified-Since : 페이지가 수정되었으면 최신 버전 페이지 요청을 위한 필드
Authorization : Authorization 헤더는 인증 토큰을 서버로 보낼 때 사용하는 헤더.
응답 헤더
Server : 웹 서버의 정보를 나타낸다.
Access-Control-Allow-Origin : 요청 Host와 응답 Host가 다르면 CORS 에러가 발생하는데 서버에서 응답 메시지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에 프론트 주소를 적어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Allow : Allow 헤더는 CORS 요청 외에도 적용된다.
Content-Disposition : 응답 본문을 브라우저가 어떻게 표시해야 할지 알려주는 헤더.
Location : 300번대 응답이나 201 Created 응답일 때 어느 페이지로 이동할지를 알려주는 헤더
Content-Security-Policy : 다른 외부 파일들을 불러오는 경우, 차단할 소스와 불러올 소스를 여기에 명시할 수 있다.하나의 웹 페이지는 다양한 외부 소스들을 불러온다. (이미지, JS, CSS, 폰트, 아이프레임 등)
참고:https://goddaehee.tistory.com/169
'네트워크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Cipher Suite(TLS/SSL) (0) | 2020.09.29 |
---|---|
[Network]DOT(Dns Over Tls) vs DOH(Dns Over Https) (0) | 2020.09.28 |
[Network]VLAN? (0) | 2020.09.27 |
[Network]WireShark 사용법 (0) | 2020.09.27 |
[Network]TCP/IP Socket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