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 Amazon Web Services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500개가 넘는 인스턴스, 그리고 최신 프로세서, 스토리지, 네트워킹, 운영 체제 및 구매 모델의 옵션과 함께 워크로드의 요구 사항에 가장 잘 부합할 수 있도록
aws.amazon.com
단계 설명
- MobaXterm 설치 (터미널 접속 프로그램)
- 이전 글에서 생성한 키 페어 .ppk 준비 및 적용
- 우분투 로그인
- 접속
1. MobaXterm 설치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위 사이트에 접속하여 Free 버전을 다운로드 해주시기 바랍니다.
원하시는 방식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 무설치로 설치하였습니다.)
2. 키 페어 .ppk 준비 및 적용
이전 글에서 .ppk를 생성하면 저런 형식으로 다운이 받아지게 됩니다.
[AWS]2. EC2 서버 생성
https://aws.amazon.com/ko/ec2/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 Amazon Web Services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500개가 넘는 인스턴스, 그리고 최신 프로세서, 스토리지, 네트워킹, 운영 체제..
jamong1014.tistory.com
생성하는 방식으로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왼쪽 상단에 위치해 있는 'Session' 버튼을 눌러주세요.
SSH - Remote host(EC2 서버의 아이피 입력) - Use private key 체크 - 다운받은 .ppk 선택 - OK
정상적으로 접속 된 모습
3. 우분투 로그인
Default 아이디는 'ubuntu' 입니다.
(AWS Linux는 'ec2-user')
4. 접속
'접속 성공'
'서버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6. ELB(Elastic Load Balancer) 개념 및 실습 (0) | 2022.06.05 |
---|---|
[AWS]5. EC2 Elastic IP 적용하기 (0) | 2022.06.01 |
[AWS]4. EC2 서버 접속(Windows Server) (0) | 2022.05.29 |
[AWS]2. EC2 서버 생성 (0) | 2022.05.29 |
[AWS]1. EC2 서비스 개념과 그 외 용어들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