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95

[Network]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와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프록시 개념이다.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다이렉트로 직접 서버에 접근하는 것이 아닌 중간 중계기 역할을 해주는 프록시라는 서버가 먼저 요청을 받고 대신 데이터를 송신함 데이터 요청을 할 때마다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라면 프록시 서버를 통해 캐싱하여 성능 향상도 가능. End Point 서버 입장에선 프록시 서버를 통해 데이터 요청을 했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를 뒤지지 않는 이상 어떠한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하였는지 모름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고자 하는 서버에게 요청을 하면 리버스 프록시가 이 요청을 받아 내부 서버(본래 통신하고자 하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은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즉 클라이언트는 통신하고.. 2022. 5. 25.
[Network]KT Giga UTP? KT Giga UTP(모뎀) ● 100M 신호를 그 이상의 신호로 변조하는 기능(500M로 변조) ● 스위칭 허브 역할도 가능 ● 500M 변조가 핵심이기에 모뎀이라고 불러야 함 -참고- https://cafe.naver.com/neteg/228584 kt giga utp 모뎀? 질문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2022. 2. 14.
[Network]PAT? Dynamic NAT의 방식의 일종 PAT가 나오게 된 이유 다이나믹 NAT 같은 경우 N:N 즉 다수의 내부아이피를 다수의 공인아이로 매핑 시키는 방식인데 예를 들어 NAT POOL에 3개의 공인 아이피의 데이터가 저장 되어있다고 해보자 이 때 192.168.0.2가 1.1.1.1, 192.168.0.3이 1.1.1.2 192.168.0.4가 1.1.1.3 이렇게 동적으로 매핑이 되었을 때(결국 1:1 통신) 192.168.0.5는 공인 아이피를 할당 받지 못한다. 즉 공인 아이피는 무한하지 않기 때문에 192.168.0.5는 다른 내부 아이피의 통신이 끝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소리이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것이 PAT이다. PAT의 원리 1:N, 즉 하나의 공인 아이피를 가지고 다수.. 2022. 2. 14.
VPS 가상 전용 서버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나누어 여러 개의 가상 서버로 사용하는 가상화 방법의 한 형태이다. 이것은 메인 프레임과 같이 예전부터 익히 알려진 것이었으나 최근 VMware, 젠, FreeBSD Jail, 유저 모드 리눅스(UML), 리눅스-V서버, FreeVPS, OpenVZ, 그리고 Virtuozzo와 같은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83%81_%EC%82%AC%EC%84%A4_%EC%84%9C%EB%B2%84 가상 사설 서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상 사설 서버(Virtual private server, VPS) 혹은 가상 전용 서버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나누어 여러 개의 .. 2022. 2. 5.
클라우드 서비스(Saas, Iaas, Paas) 자사 서버가 아닌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용하는 것 대표적으로 클라우드는 Saas, Iaas, Paas가 현재 주류이다. Saas ● 사용자가 필요한 시스템을 통째로 제공 받는 유형 Paas ● Iass와 Saas의 중간에 해당하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와 개발 환경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Iaas ● OS 외에는 아무 것도 설치되지 않은 서버를 계약하는 것 ● 사용자는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이나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를 직접 설치함 요약하여 클라우드란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되는 서버와 해당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합니다. 타 서버의 서비스를 제공 받아 운용하는 것(네트워크, DB, 안텔리전스, 서버, 스토리지 등등)등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할 수 .. 2022. 2. 5.
클러스터링 다중화(장애 발생 후 방안) 클러스터링은 서버의 다중화 기술로 하드웨어 장애에 대비하는 기술이다. 클라이언트 쪽에서는 여러 대의 서버가 한 대처럼 보이게 되어 있어, 메인 시스템이 고장을 일으키면 바로 대기하던 시스템으로 전환된다. 메인 서버와 대기 서버 사이에는 끊임없이 데이터가 복제되고 있다. 클라이언트는 메인 시스템에 접속하지만, 만일의 경우엔 의식하지 않아도 대기 시스템으로 접속한다. 핫 스텐바이 ●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을 준비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방법 ●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를 상시 대기 시스템에 복제하고 있어, 장애 발생 시 바로 전환된다. 콜드 스탠바이 ● 메인 시스템과 대기 시스템을 마찬가지로 준비한다. ● 메인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고 나서 대기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 메인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고 .. 2022. 2. 5.